✅ 촬영한 360 실내 영상을 플랫폼에서 다양한 각도로 뷰잉, 워크스루(로드맵), 비교 확인 가능하여 현장에 방문하지 않아도 진행 상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.
▎360영상 업로드 방법
① 현장상황 목록 상단 메뉴 중 [실내]
를 클릭합니다.
② [건물 추가]
버튼을 통해 360 영상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.
③ 360 영상 데이터를 확인하고자 하는 구역을 클릭합니다.
▎360영상 뷰어 및 워크스루
<360 영상>
영상 재생 중 원하는 방향으로 화면을 좌클릭 드래그하면 자유로운 각도로 시점 이동이 가능합니다.
① 우측 상단의 [360 영상]
버튼을 클릭하면 360 영상 뷰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② 현재 뷰잉중인 영상 데이터를 확인 및 폴더별 분류할 수 있습니다.
③ 하단 영상 제어 버튼을 통해 재생, 일시 정지, 되감기 및 건너뛰기가 가능합니다.
<워크스루>
워크스루 뷰잉 중 원하는 방향으로 화면을 좌클릭 드래그하면 자유로운 각도로 시점 이동이 가능합니다.
① 우측 상단의 [워크스루]
버튼을 클릭하면 워크스루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② 현재 뷰잉중인 영상 데이터를 확인 및 폴더별 분류할 수 있습니다.
③ 미니맵(평면도)를 추가하면 촬영 위치가 표기되어 지도처럼 활용할 수 있으며, 동선을 클릭하면 해당 위치로 뷰어 화면이 이동합니다.
④ 하단 화살표 또는 페이지 좌우버튼 클릭으로 한 칸씩 워크스루 이동이 가능합니다.
⑤ [현장 비교]
버튼을 클릭해 같은 구역의 워크스루를 다른 날짜와 비교할 수 있습니다.
<워크스루 - 비교영상>
① [비교 영상]
의 토글을 활성화하여 비교를 원하는 날짜를 선택하면 [기준 영상]
과 2분할 비교하여 워크스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② 미니맵(평면도)를 추가하면 기준 영상은 청색으로, 비교 영상은 황색으로 각 영상의 촬영 위치가 표기되어 지도처럼 활용할 수 있습니다. 동선을 클릭하면 해탕 위치로 뷰어 화면이 이동합니다.
✅ 실내 현장 비교 가이드
- 반드시 기준 영상과 동일한 평면도로 미니맵을 생성한 영상만 비교가 가능합니다.
- 미니맵에서 위치를 클릭하면 2개 화면이 함께 이동합니다.
- 개별 화면에서 화살표를 클릭하면 해당 화면만 이동합니다.
▎360영상 데이터 추가 및 삭제
① ② ③ 360영상을 폴더로 나누어 관리할 수 있습니다. ④ 평면도(미니맵)를 업로드해 동선을 입히면 촬영 위치가 파악되는 지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⑤ |
댓글
댓글 0개
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.